
관계적응기의 인간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와의 관계, 형제자매의 관계, 가족의 관계, 선생님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등이 대표적인데, 이는 제한적인 인간관계를 통하여 자신의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을 만듭니다.
아들의 경우에는 인간관계를 맞다 틀리다로 구분합니다. 그래서 특정한 대상의 인간에 대하여 자신과 맞는 사람, 자신과 틀린 사람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기억과 습관을 만듭니다. 자신과 맞는 사람과의 인간관계는 재미와 즐거움의 좋은 기분이 발생하고, 자신과 맞지 않는 사람과의 인간관계는 스트레스의 나쁜 기분이 발생합니다. 이와 같이 남자인 아들은 재미와 즐거움의 좋은 기분이 발생하면 심리가 안정되고 행복하다고 느끼게 되지만, 스트레스의 나쁜 기분이 발생하면 심리가 불안정해지고 불행하다고 느낀다.
반면, 딸의 경우는 인간관계를 좋다와 싫다로 구분합니다. 그래서 특정한 대상의 인간에 대하여 자신이 좋은 사람, 자신이 싫은 사람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기억과 습관을 만듭니다. 자신이 좋은 사람과의 인간관계는 좋은 감정 또는 사랑의 감정이 발생하고, 자신이 싫은 사람과의 인간관계는 상처의 나쁜 감정이 발생합니다. 이와 같이 여자인 딸은 좋은 감정이 발생하면 심리가 안정되고 행복의 감정을 느끼게 되지만, 나쁜 감정인 상처가 발생하면 심리가 불안정해 지고, 상처의 감정을 기억합니다.
상담&치료문의 : mothertherapy@kip.ac
[더 많은 자료보기 : 블로그]